냉장고, TV, 에어컨과 같은 대형 가전은 물론 선풍기, 스마트폰, 청소기, 전기밥솥 같은 소형 가전도 전부 무상 수거가 가능하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처치 곤란했던 가전제품을 이참에 모두 정리해 보아요.
1. 폐가전 제품 배출 예약 시스템 홈페이지를 활용합니다.
⦿ 수거 절차
폐가전제품 배출 예약 시스템 홈페이지에서 모바일로 예약하거나 콜센터(1599-0903)에 전화하셔서 수거 예약을 하시면 예약날 담당 기사분께서 방문하셔서 수거해 가십니다.
집안 방문 수거가 원칙이기 때문에 굳이 폐가전제품을 집밖에 내놓지 않아도 되며, 원할 경우 현관문 앞, 마당 앞 수거도 가능하니 담당 기사분이 배정됐을 때 미리 이야기만 하면 내가 원하는 방법으로 무상으로 배출이 가능합니다.
⦿ 소형 가전은 5개 이상 되야 수거합니다.
소형 가전제품은 가습기, 비디오 플레이어, 스캐너, 연수기, 음식물 처리기, 전기밥솥, 전기온수기, 전기 히터, 청소기, 튀김기, CCTV, 빔프로젝터, 식품 건조기, 영상 게임기, 전기 재봉틀, 전기 비데, 전기 주전자, 제빵기, 커피 메이커, 헤어 드라이기, 믹서기, 선풍기, 약탕기, 유무선 공유기, 전기다리미, 전기 안마기(안마 의자 제외), 전기 프라이팬, 족욕기, 토스트기, 모니터, 노트북, 내비게이션, 팩시밀리, 스마트폰, 휴대폰, 오디오 본체, 오디오 스피커, 프린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이와 같은 소형 가전은 5개 이상 되어야 방문 수거가 가능하며, 5개가 되지 않으면 수거하지 않으니 이 때는 주소지 지자체에 문의하셔서 배출하셔야 합니다.
⦿ 대형 가전은 1개만 배출하여도 수거합니다.
대형 가전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TV, 전기 오븐, 자동판매기, 러닝 머신, 식기 건조기, 식기 세척기, 복사기, 전기 정수기, 냉온 정수기, 공기 청정기, 전자레인지, 제습기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대형 가전은 1개 품목만 배출하여도 방문 수거가 가능하며, 대형 가전을 배출할 때는 소형 가전도 개수 제한 없이 무상으로 수거가 가능합니다.
집에서 굴러다니는 옛날 청소기, 스마트폰, 오래된 선풍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전도 이때 같이 배출하시면 좋을 것 같네요.
⦿ 수거 불가 품목
폐가구류는 수거하지 않습니다.
가전제품만 수거하며 장롱, 침대, 식탁 등과 같은 가전제품이 아닌 가구류는 수거하지 않습니다. 가구류는 폐기물 스티커(유상)를 부착하셔서 배출 장소에 내놓으셔야 합니다.
가전제품이라도 임의 분해해서 원형이 보존되지 않은 제품, 빌트인 제품 등은 수거하지 않으며 안마 의자도 수거하지 않습니다. 또한 기사분이 직접 방문하셔서 수거하시기 때문에 기사님께서 오시면 바로 수거할 수 있게 고정된 제품은 철거를 해 놓아야 합니다.
즉, 벽걸이 TV, 에어컨, 빔프로젝터, 유무선 공유기, 감시카메라 등 고정된 제품은 기본 철거가 되어 있어야 수거 가능하며, 사다리차, 크레인이 필요하거나 제품을 분해해야만 수거가 가능한 경우에도 미리 수거가 가능한 상태로 조치를 취해 놓으셔야 합니다.
2. 소형 폐가전 수거함을 활용합니다.
모든 지자체나 아파트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잘 살펴보시면 주민센터나 아파트 쓰레기 배출 장소에 소형 폐가전 수거함이 비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말 그대로 소형 폐가전 수거함이기 때문에 냉장고, 세탁기, TV와 같은 대형 가전은 안되지만 선풍기, 라디오, 믹서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전은 소형 폐가전 수거함을 통해 무상으로 배출이 가능합니다.
3. 전자제품 매장(하이마트, 전자랜드 등)에서도 수거합니다.
잘 생각해 보시면 냉장고나 TV, 세탁기 등을 바꿀 때 기사님께서 오시면 새로운 제품을 설치하면서 기존 제품을 수거해 가십니다.
그 외 소형 가전제품도 하이마트나 전자랜드 등 전자제품 매장에 방문하시면 무상으로 배출이 가능한데요. 이 때는 배출하고자 하는 매장에 직접 연락하셔서 배출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배출하셔야 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배출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보통 1~2개 제품을 소량으로만 수거를 받아주기 때문에 미리 알아보셔야 하겠습니다.
4. 흰 봉투나 그물망에 담아 재활용품 수거일에 내놓습니다.
소형 폐가전 수거함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경우 소형 가전제품은 흰 봉투나 그물망에 담아 재활용품 수거일에 내놓으면 무상으로 수거가 가능합니다.
그냥 내놓을 경우 불법 투기로 오인받을 수 있기 배출 전 주소지 지자체에 문의하시어 배출 방법에 대해 상의 후 배출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만약 배출한 소형 가전의 수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배출 봉투 상단부에 '폐기물 처리 수수료 면제 품목'이라고 표기를 해 두시면 보다 수월하게 수거가 가능하다는 점 말씀드립니다.
이상 냉장고, 세탁기, 스마트폰, 선풍기 등 폐가전제품의 무상 수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 글을 읽어보신 분들 모든 분들께서는 못쓰는 가전제품은 무료로 버리셔서 창고는 비우시고 마음은 넉넉해 지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이 본 글
현대 싼타페 풀체인지 MX5 출시일, 가격, 예상도 총정리
국내 SUV 시장의 부흥기를 열었던 현대 싼타페. 싼타페cm, 싼타페dm에서 굳건히 지켜오던 왕좌는 현 4세대 싼타페 tm에서는 같은 그룹 내 쏘렌토에 완전히 밀린 상황입니다. 심지어 2021년 하반기에
best-on.tistory.com
대파 뿌리, 양파 껍질, 생선 가시는 일반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법 총정리
음식물 쓰레기는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아니 어디까지가 음식물 쓰레기이고 어디까지가 일반 쓰레기일까요? 알쏭달쏭한 음식물 쓰레기 버리는 법 이 글 하나로 종결합니다. 음식물 쓰레기 버
best-o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