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최대 36만원 더 받을 수 있는 '청년희망적금' 이달 21일 출시

by §#⁊ª¿ 2022. 2. 8.
반응형

청년층을 위한 납입액의 4%의 저축 장려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청년희망적금이 이달 21일 출시됩니다. 저축장려금에 비과세까지 파격적인 청년희망적금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2년 청년희망적금이란?

  • 2년 간 매월 50만 원 한도
  • 저축 장려금: 1년 차 2%, 2년 차 4% (최대 36만 원)
  • 비과세: 이자 + 저축 장려금 

오는 21일 출시하는 2022년 청년희망적금은 지원 대상자에게 저축장려금과 비과세 혜택을 주고, 2년 간 매월 50만 원 한도로 납입할 수 있는 적금입니다.

(예시) 금리가 3%인 은행에 매월 50만 원씩 2년간 납입했다면?
① 원금: 50만 원 × 24개월 = 1,200만 원
② 이자
  -1년차: 600만 원 × 3% = 18만 원
  -2년차: (18만 원 × 3%) + (600만 원 × 3%) = 18만 5,400원
  -이자 합계: 36만 5,400원
③ 저축장려금: 12만 원 + 24만 원 = 36만 원
④ 수령 총액: 1,272만 5,400원

비과세 상품이기 때문에 15.4%의 이자소득세도 내지 않는 청년들을 위한 아주 유용한 상품입니다.

 

2. 2022년 청년희망적금 대상

  • 나이: 만19세 이상 만 34세 이하
  • 소득: 2021년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가입 제한: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은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총 급여 3,6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인 청년입니다. 

 

만약 병역을 이행하신 분들이라면 최대 6년까지 나이에 혜택을 준다고 하니 해당하시는 분들은 은행 창구에서 직접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과세 기간은 2021년 1월 ~ 2021년 12월입니다. 다만 소득이 없거나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에서 소득 확인이 불가능하신 분들은 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란 이자소득 + 배당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로 직전 3개년도 중 2회 이상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였었다면 가입이 제한됩니다.

 

 

3. 2022년 청년희망적금 신청 방법

  • 신청 기간: 2022년 12월 31일
  • 신청 은행: 농협, 국민, 신한, 하나, 기업, 우리,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서비스

비과세 혜택을 위해선 2022년 12월 31일까지 가입해야 합니다.

 

신청 은행은 농협, 국민, 신한, 하나, 기업, 우리, 부산, 대구, 광주, 전북, 제주 은행 등 11개 은행이며, 경남 은행은 28일, SC제일은행은 오는 6월께 출시할 예정입니다. 

 

가입은 대면, 비대면 모두 가능합니다. 

 

출시 첫 주는 많은 사람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어 가입 5부제를 실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청년희망적금-가입-5부제
청년희망적금-가입-5부제

▲ 청년희망적금 미리 보기 서비스

가입 희망자는 9월부터 18일까지 청년희망적금 미리보기를 통해 정식 출시 전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1개 은행 앱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으며, 미리 보기 참여자는 상품이 정식 출시되면 별도의 확인 과정(연령, 소득)없이 미리보기 한 은행에서 바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1987년 2월 21일 출생 자 중 병역을 이행하신 분들은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확인이 불가능하오니, 상품이 정식으로 출시된 이후 은행 창구에서 대면으로 가입 가능 여부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은행 콜센터와 서민금융콜센터(1397)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청년희망적금-취급은행-콜센터
청년희망적금-취급은행-콜센터

 

 

4. 2022년 청년 희망적금 Q&A

Q1. 2019년, 2020년에는 소득이 없었으나 2021년에 소득이 있음에도 가입 대상자가 아니라고 하는 이유는?

A1. 2021년 소득은 2022년 7월에 확정되기 때문에 소득이 확정된 7월 이후부터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Q2. 2020년에는 소득요건이 해당하지 않았으나 2021년에 소득요건이 해당하여 가입이 가능한 것 같은데 가입 대상자가 아니라고 하는 이유는?

A2. 2021년 소득은 2022년 7월에 확정되기 때문에 소득이 확정된 7월 이후부터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Q3. 소득이 없는 경우도 가입이 가능할까요?

A3. 소득 확인을 위한 과세 기간은 2021년 1월 ~ 2021년 12월입니다. 소득이 없는 자와 소득이 있더라도 국세청에서 확인이 불가능하신 분들은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Q4. 가입 이후에 소득이 증가하면 가입이 취소되나요?

A4. 아닙니다. 가입 이후의 소득 증가는 가입 자격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마치며

이상으로 2022년 청년희망적금의 가입 대상과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청년들을 위해 저축 장려금에 비과세 혜택까지주는 상품이기 때문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꼭 신청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가입 대상 및 소득 요건이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과 너무나도 비슷합니다.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은 주택청약종합저축을 갖고 계신분들도 전환이 가능하며,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으니 아직 전환 안하신 분들은 이번 기회에 같이 하시면 더욱 유익할 것 같습니다.

☞ 청년 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 엄청난 혜택 및 가입 방법. (feat. 전환 가능)

 

 

반응형

댓글